경제적 민주주의를 지향한 두 자유 사회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3 13:10
본문
Download : 경제적 민주주의를 지향한 두 자유.hwp
즉 영국인들에게 사회주의는 수용되었지만 그들은 사회주의를 맑스와는 다른 사상적 바탕 위에서 이해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 주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페이비언 사회주의는 공리주의, 실증주의로 이어지는 영국 씽크탱크의 맨 마지막 지식인 그룹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다. K. Willis도 영국에서 맑시즘은 수용 자체가 느리고 미약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Hobsbawm은 페이비언들이 영국 맑시즘의 주문을 깨뜨렸다는 Pease의 주장에 대해 맑시즘의 주문이란 것 자체가 없었는데 깨뜨리기는 뭘 깨뜨렸느냐고 분개한다. 맑스의 자본론을 읽고서 사회주의자로 출발한 Shaw가 그의 나이 70이 되어 맑스의 사상은 사회주의가 아니라고 주장한 것은 아이러니다.
5. 자유와 평등, 민주주의의 관계
3) 방법론, 엘리트의 역할
민주주의 사회주의 사회통제 / ()
1) 국가, 권력, 관료제에 대한 입장
Download : 경제적 민주주의를 지향한 두 자유.hwp( 66 )
순서
1) 조직 사회 안에 형성된 분권화 사회
4. 어느 쪽이 더 민주주의를 추구하는가?
경제적 민주주의를 지향한 두 자유 사회주의
민주주의 사회주의 사회통제





설명
2) 산업 통제에 대한 문제
2. 두 사회주의의 유사점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 머리말
3) 혁명과 개혁에 대한 입장
① 개혁 방법론
민주주의 사회주의 사회통제 / ()
2) 자유롭고 개성적인 인간관
② 엘리트의 역할
3. 두 사회주의의 차이점들
6. 맺음말 Shaw는 그의 나이 70이 되어 자신의 사회주의 사상을 밝히는 글에서 자신은 맑스를 읽었지만 그에게서 사회주의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그런가 하면 19세기 후반에 나온 우리는 이제 모두 사회주의자라는 자유당 지도자 W. Harcourt경의 주장도 역시 기이하게 들린다.
다. 이 점과 관련하여 특히 R. Harrison은 페이비언 사회주의는 영국 중산계급의 상이한 계층들이 불균등하게 발전하고, 지적 core 그룹들이 하나의 노선으로 이미 존재하는 조건 위에서만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영국의 사회주의는 고유한 방식으로 발전해 나갔음을 지적할 수 있는데 그런 점을 잘 보여 주는 사상이 바로 Shaw가 속해 있는 페이비언들의 사상이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역설적으로 영국 사회주의의 특이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