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창작론 ] (소설창작론 공통)이태준의 단편 중 1편(달밤에 대한 analysis(분석) )을 골라 읽고쓰기 작품의 줄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6 09:16
본문
Download : [현대문학사] 이태준의 `달밤`[2].hwp
- 방통대 2010-1학기 국문학과 4학년 소설창작론 공통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문학과사상연구회, “이태준 문학의 재인식” 중 1930년대 후반 이태준 문학과 내부 식민주의 성찰”, 하정일, 소명출판, 2004 민충환, 이태준소설의 이해, 백산출판사, 1992. 박영숙, 이태준 단편소설 연구, 강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백해선, 이태준 단편소설 연구, 계명대학 석사 논문. 1999
백해선, 이태준 단편소설 연구, 계명대학 석사 논문. 1999
- 韓國放送通信大學校 2010-1학기 국문학과 4학년 소설창작론 공통 참고資料입니다
1. 머리말
Download : [현대문학사] 이태준의 `달밤`[2].hwp( 90 )
설명
1) 이태준의 생애
6. 서지사항
1. 머리말
[소설창작론 ] (소설창작론 공통)이태준의 단편 중 1편(달밤에 대한 analysis(분석) )을 골라 읽고쓰기 작품의 줄거리와 문학사적 의미에 대하여 논하기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4. 이태준의 문학사적 의의
순서
5. 나가며
2) <달밤>의 특징
3. 달밤
2. 이태준에 대한 고찰
- 다양한 資料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요점하였습니다
1930년대 후반 이태준 문학과 내부 식민주의 성찰”, 하정일, 소명출판, 2004
이태준, 이태준단편의문학사적의의, 이태준의 단편, 이태준작품, 달밤
2. 이태준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資料] 문학과사상연구회, “이태준 문학의 재인식” 중
다. 1) 줄거리
이태준(李泰俊, 1904~1970). 호는 상허(尙虛). 강원도 철원 출생. 휘문고보 수학. 日本 도쿄 죠치대학(上智大學) 중퇴. 1933년 ‘구인회’ 동인, 1939년 <문장> 편집 주관. 1934년 첫 단편집 『달밤』발간을 스타트으로 『가마귀』(1937), 『이태준 단편선』(1939), 『이태준 단편집』(1941) 등 단편집 7권과 『구원의 여상』(1937), 『화관』(1938), 『청춘무성』(1940) 등 장편 13권을 발간. 소설은 물론 시, 동화, 희곡, 수필, 평론 등 문학의 전 갈래에 걸쳐 왕성한 활동. 해방 직후 조선문학가동맹 가담, 월북 후 조선문화사절단의 일원으로 소련방문. 한국전쟁 직후 숙청되었다. 당대 평가에 비해 월북작가로서 백안시된 경향이 없잖아 있는 그의 작품세계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글을 스타트하고자 한다. 이 작품의 경우 ‘황수건’이라는 인물과 그를 지켜보고 대화하는 ‘나’를 중심으로 ‘나’가 이야기를 서술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인물을 중심으로 작품을 살펴보고, 그 인물을 통해 작품이 전달하는 주제와 효과, 그 인물과 주제를 부각시키는 구조와 장치들을 알아볼 것이다. 특히 이태준의 경우 다작을 한 작가로서 그의 작품세계에서는 작품 활동 시기에 따라 일정한 흐름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먼저 이태준의 생애에 관련되어 간단히 알아보고, 『달밤』이 쓰인 시기 그의 작품세계에 관해서 고찰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된다된다. 한국현대문학사, 권영민, 민음사, 2002. 8. 30, p470, 이태준 문학연구, 상허문학회, 깊은샘, 1993. 12. 20. p13.
민충환, 이태준소설의 이해, 백산출판사, 1992.
![[현대문학사] 이태준의 `달밤`[2]-4258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5B%ED%98%84%EB%8C%80%EB%AC%B8%ED%95%99%EC%82%AC%5D%20%EC%9D%B4%ED%83%9C%EC%A4%80%EC%9D%98%20%60%EB%8B%AC%EB%B0%A4%60%5B2%5D-4258_01.gif)
![[현대문학사] 이태준의 `달밤`[2]-4258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5B%ED%98%84%EB%8C%80%EB%AC%B8%ED%95%99%EC%82%AC%5D%20%EC%9D%B4%ED%83%9C%EC%A4%80%EC%9D%98%20%60%EB%8B%AC%EB%B0%A4%60%5B2%5D-4258_02_.gif)
![[현대문학사] 이태준의 `달밤`[2]-4258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5B%ED%98%84%EB%8C%80%EB%AC%B8%ED%95%99%EC%82%AC%5D%20%EC%9D%B4%ED%83%9C%EC%A4%80%EC%9D%98%20%60%EB%8B%AC%EB%B0%A4%60%5B2%5D-4258_03_.gif)
![[현대문학사] 이태준의 `달밤`[2]-4258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5B%ED%98%84%EB%8C%80%EB%AC%B8%ED%95%99%EC%82%AC%5D%20%EC%9D%B4%ED%83%9C%EC%A4%80%EC%9D%98%20%60%EB%8B%AC%EB%B0%A4%60%5B2%5D-4258_04_.gif)
![[현대문학사] 이태준의 `달밤`[2]-4258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5B%ED%98%84%EB%8C%80%EB%AC%B8%ED%95%99%EC%82%AC%5D%20%EC%9D%B4%ED%83%9C%EC%A4%80%EC%9D%98%20%60%EB%8B%AC%EB%B0%A4%60%5B2%5D-4258_05_.gif)
박영숙, 이태준 단편소설 연구, 강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이태준의 『달밤』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작품을 읽은후, 작품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점을 찾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달밤』의 작품에 관련되어 자세히 고찰해 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태준과 그의 작품이 지닌 문학사적 의의를 알아보는 것으로 끝맺음 하고자 한다. 특히 『달밤』의 경우 이태준의 초기 단편소설로 분류되는 작품들 중에서 대표작으로 꼽히고 있기 때문에 더욱 필요한 작업이라고 생각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