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3 2 / 단국의 창학 이념의 배경은 범정 장형 선생의 철학과 사상을 바탕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07 13:10
본문
Download : 3-2, 단국의 창학 이념의.hwp
그리고 ‘홍익인간’의 정신은 비폭력 정신이다. 단군정신의 강조는 바로 우리의 주체성을 지키자는 뜻으로 풀이된다. ‘구국’의 이념속에 담긴 정신...
인문사회 3 2 / 단국의 창학 이념의 배경은 범정 장형 선생의 철학과 사상을 바탕으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이런 상황 속에서 조국을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길인가를 심각하게 고민하였다. 그리하여 백범 선생과 해공 신익희 선생 등과 사의하여 교육의 길을 선택하게 되었다. 이는 빌려온 사상이 아니라 내 사상으로 나라를 구하자는 뜻이 담겨있는 것이다.단국의 창학 이념의 배경은 범정 장형 선생의 철학과 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순서





단국의 창학 이념의 배경은 범정 장형 선생의 철학과 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Download : 3-2, 단국의 창학 이념의.hwp( 23 )
[인문사회] 3 2 / 단국의 창학 이념의 배경은 범정 장형 선생의 철학과 사상을 바탕으로
설명
단국의 창학 이념의 배경은 범정 장형 선생의 철학과 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미소의 냉전이데올로기에 의하여 분단이 고착되는 현실을 보고 낙담하게 되었다. ‘단국’은 ‘단군’에서 ‘단’자를 ‘애국’에서 ‘국’자를 딴 것으로, 지금은 외세에 의하여 어쩔 수 없이 남북이 분단되어 있지만, 우리 민족 국가의 개국 이념인 단군 정신을 남과 북 양쪽에서 잊지 않고 교육해 나간다면 반드시 통일을 이룰 수 있다는 신념을 담고 있다 단국대학교의 첫 번째 창학이념은 ‘구국’이다. 이러한 동질성 회복의 방법으로 범정 선생은 단군 정신을 강조했다. 이러한 홍익인간 정신을 동질성 회복의 기본 철학으로 한다면 현재 우리 민족의 가장 절실한 희망인 평화 통일은 가능하다. ‘구국’이란 담론은 대학이 설립되었던 당대의 시대적인 요청이었고 설립자 두 분의 정신, 특히 범정 선생의 의지가 표출된 이념이다. 이러한 신념은 오늘날에 더욱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적대적인 대결 구도 속에서 통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해야 할 것이 민족 동질성의 회복이다. 우리 단국대학은 나라의 조상이신 단군 할아버지의 높은 뜻을 받들어서 ‘홍익인간’의 교육이념 아래 발족한 대학이다. 이에 범정은 독립운동을 할 때 의혈동지로 군자금을 조달해 주었던 박기홍 선생의 유지를 따르는 미망인 혜당 조희재 여사로부터 재산을 받아 민립대학을 설립하기로 하였으니, 여기서 우리 단국 대학교의 설립이 태동된 것이다. ‘구국’에 담긴 가장 근본적인 정신은 분단극복, 즉 통일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