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상징주의와 성상학에 상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5 16:16
본문
Download : religioussymbolismandiconog.hwp
신성한 돌, 동물, 식물, 북(드럼), 토템 상(像), 조상(祖上)들의 상은 모두 거룩한 존재를 상징하고, 그 임재와 영험을 보증한다. 종교는 주로 관계들의 체계, 즉 거룩한 존재와 인간이 주고받는 도전과 응답 체계이다. 이런 영역을 구분하는 말뚝·팻말·기둥 같은 상징물들에도 거룩한 상징적 의미가 부여되며, 그 의미들은 각 상징물에 새겨져 있는 독특한 도안들로 식별할 수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영국의 스톤헨지(둥글게 둘러서 있는 거석들), 유럽의 거석들, 고대 이집트, 바빌로니아, 중국(China), 멕시코의 신전과 성소 같은 선사시대 예배장소들에도 상징적인 의미가 담겨 있다. 상징적 표상을 사용해 거룩한 존재의 임재를 묘사하는 일은 극단적일 경우 상징물과 그 안에 상징된 영적 세력을 동일시하는 데까지 나갈 수 있다. 황소를 상징하는 그리스의 신 디오니소탈곡기스, 곡식 이삭을 상징하는 그리스의 여신 데메테르, 돌을 상징하는 로마의 신 주피터, 식물을 상징하는 시리아의 신 탐무즈 아도니스, 매를 상징하는 이집트의 신 호루스는 모두 자연물과 동일시한 신의 상징물인 듯하다. 어떤 장소(성소, 작은 숲, 신전, 교회, 그밖의 예배장소)를 거룩한 영역으로 구별하는 것도 상징행위이다. 그렇다면 상징물은 거룩한 존재가 내재해 있는 대상물이다. 이런 상징물이 많이 생겼다는 사실은 사람들이 각 상징물과 거룩한 존재를 동일시했음을 보여준다. 거룩한 존재는 스스로를 시간과 공간에 나타낸다.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The Lost Lang
순서
Download : religioussymbolismandiconog.hwp( 47 )
The Development of Hindu Iconography, 2nd ed. rev : Jitendra Nath Banerjea, 1956 (reprinted 1974)
종교생활의 원초적 형태(사회학연구 10) : E. 뒤르켐, 노치준 외 역, 민영사, 1992
The Philosophy of Symbolic Forms, 3 vol. : Ernst Cassirer, 1953-57
기독교의 상징 : 이준직, 신생사, 1979
4. 종교상징주의와 성상학의 관게
비교종교학 : J. 바하, 김종서 역, 민음사, 1987
Symbolism in Liturgical Art : Leroy H. Appleton·Stephen Bridges, 1959
성스러움의 의미 : R. 오토, 길희성 역, 분도출판사, 1987
그리스도교의 상징들 : 김종익, 가톨릭출판사, 1987
3. 상징과 거룩함의 관계
Bibliographie zur Symbolik, Ikonographie und Mythologie, 4 vol. : Manfred Lurker (ed.), 1968-71
종교상징주의 성상학 종교 / 종교와 상징(21세기 신서 3) : 이은봉, 세계일보사, 1992
2. 종교상징의 본질
설명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 C. G. 융, 이부영 외 역, 집문당, 1983
상징과 해석 : D. M. 라스무센, 장석만 역, 서광사, 1991
종교상징주의 성상학 종교 / 종교와 상징(21세기 신서 3) : 이은봉, 세계일보사, 1992 종교생활의 원초적 형태(사회학연구 10) : E. 뒤르켐, 노치준 외 역, 민영사, 1992 상징과 해석 : D. M. 라스무센, 장석만 역, 서광사, 1991 상징작용 그 의미와 효과 : A. N. 화이트헤드, 정연홍 역, 서광사, 1989 그리스도교의 상징들 : 김종익, 가톨릭출판사, 1987 성스러움의 의미 : R. 오토, 길희성 역, 분도출판사, 1987 비교종교학 : J. 바하, 김종서 역, 민음사, 1987 잊어버린 언어 : E. 프롬, 김남석 역, 서음출판사, 1984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 C. G. 융, 이부영 외 역, 집문당, 1983 기독교의 상징 : 이준직, 신생사, 1979 Bibliographie zur Symbolik, Ikonographie und Mythologie, 4 vol. : Manfred Lurker (ed.), 1968-71 Symbolism in Liturgical Art : Leroy H. Appleton·Stephen Bridges, 1959 Symbolik der Religionen : Ferdinand Herrmann (ed.), 1958 The Philosophy of Symbolic Forms, 3 vol. : Ernst Cassirer, 1953-57 The Development of Hindu Iconography, 2nd ed. rev : Jitendra Nath Banerjea, 1956 (reprinted 1974) The Lost Lang
종교상징주의와 성상학에 상대하여
잊어버린 언어 : E. 프롬, 김남석 역, 서음출판사, 1984
5. 상징적 표현의 양태
Symbolik der Religionen : Ferdinand Herrmann (ed.), 1958
종교상징 이면에 있는 실재에 대해 어떤 체험이 이루어지든 그 체험은 거룩한 존재에 대한 체험이며, 그것은 본질상 종교定義(정이) 에 속한다. 거룩한 장소는 우주와 그 구도를 반영하며 우주의 거룩함을 지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종교 건물의 도면, 건물 방향, 담장, 지붕, 아치 들은 모두 거룩한 존재를 상징하는 데 쓰였다. 따라서 시간과 공간 자체는 거룩한 존재의 투명한 상징이 된다된다.
1. 개요
상징작용 그 의미와 결과 : A. N. 화이트헤드, 정연홍 역, 서광사, 1989
6. 성상과 성상학 체계 상징과 거룩함의 관계
종교상징주의 성상학 종교
다. 종교사 연구를 통해 상징이 인간에게 거룩한 존재의 실재와 주장을 전달하고 심어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