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법총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30 01:59
본문
Download : 민법총칙_98318.hwp
(2) 사자
1. 종류① 완성한 의사표시를 전달하는 자 : 편지를 전달하는 자 등
② 타인이 결정한 의사를 상대방에게 표시하여 그 의사표시를 완성시키는 자 :
말을 전하는 자 등2. 대리와 사자의 구별
대리에 있어서의 의사표시는 대리인 자신의 의사표시임에 반하여 사자에 있어서는
의사는 본인이 결정하고 사자는 이를 표시하는 기관에 불과하다. 따라서 사자는
본인이 행위능력이…(drop)
3. 대리의 종류
(1) 임의대리. 법정대리 : 구별의 실익은 주로 대리인의 복임권 및 대리권의 소멸에 있다아
(2) 능동대리. 수동대리
(3) 유권대리. 무권대리
4. 대리가 인정되는 범위
(1) 대리는 원칙적으로 법률행위에 마주향하여 만 인정되며 준법률행위. 사실행위. 불법행위
(2) 준법률행위 중에서도 의사표시와 대단히 유사한 성질을 가지는 관념의 통지나 의사의
(3) 대리에 친하지 않은 행위
Download : 민법총칙_98318.hwp( 27 )
순서
1. 대리제도의 사회적 기능
,경영경제,레포트
(1) 사적 자치의 확장 : 대리인을 통해서도 법적 생활이 가능 :...






레포트/경영경제
다.설명
제1절 서 론
민법총칙
제1절 서 론 1. 대리제도의 사회적 기능 (1) 사적 자치의 확장 : 대리인을 통해서도 법적 생활이 가능 :... , 민법총칙경영경제레포트 ,
제1절 서 론
1. 대리제도의 사회적 기능
(1) 사적 자치의 확장 : 대리인을 통해서도 법적 생활이 가능 : 거래관계를 중심으로
맺어지는 대리관계 --> 임의대리(2) 사적 자치의 보충 : 무능력자도 법률생활이 가능 : 일정한 신분관계를 중심으로
법률상 당연히 생기는 대리관계 --> 법정대리2. 대리와 유사한 제도
(1) 대표
대표는 법인의 기관을 이르는 말이며, 대표의 행위가 법인 자체의 행위로 인정되는 것이므로 대표의 불법행위도 당연히 법인의 불법행위가 된다 대표에 관하여는 대리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