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상변압기의 무부하property(특성)시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16 07:13
본문
Download : 단상변압기의 무부하특성시험.hwp
그러므로, 전력계의 지시값은 바로 철손, 즉 무부하손을 표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차측(고압측)을 개방하고 2차측(저압측)에 정격 주파수…(생략(省略))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순서
다.
,공학기술,레포트
【1】 목적
단상변압기에 전압을 공급할 경우 무부하손(철손)과 여자전류를 측정(measurement)하여 무부하특성(特性)을 이해하고, 또 여자 어드미턴스(exciting admittance), 여자 콘덕턴스(exciting conductance), 여자 서셉턴스(exciting susceptance), 무부하 역률을 계산한다.
이 방법에 의하여 측정(measurement)한 손실 중에는 2차 권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생기는 동손과 절연물 중위 유전체손도 포함되어 있으나 이것은 2차 권선의 저항이 작으므로 동손도 아주 작고, 또 전압이 매우 높은 것 이외는 유전체손도 작으므로 철손에 비하여 무시할 정도이다.
단상변압기의 무부하특성시험에 대한 실험보고서 자료입니다.
【2】 원리
변압기의 철손과 여자전류는 철심 중의 최대자속밀도 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이 최대 자속 밀도 은 같은 실효값의 전압이라고 파형에 의하여 일정하지 않다.[전기]실험보고서3학년2학기#7 , 단상변압기의 무부하특성시험공학기술레포트 ,
Download : 단상변압기의 무부하특성시험.hwp( 12 )
[전기]實驗보고서3학년2학기#7
단상변압기의 무부하property(특성)시험
단상변압기의 무부하property(특성)시험에 대한 實驗보고서 data(자료)입니다. 그러므로, 전압은 될 수 있는 대로 정현파형의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좋다.
가령 전압계의 지시가 일정하더라도 전압의 파형이 다르면 최대 자속밀도가 달라지고 따라서 철손과 여자전류에도 다소의 影響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