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도분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25 15:26
본문
Download : 간도분쟁.hwp
2차에 걸친 을유·정해 국경회담에서 한, 일은 당시 홍토·석을수의 합류지점 이상의 땅에서는 서로 싸우고 결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skip)
Download : 간도분쟁.hwp( 58 )
레포트/인문사회
간도분쟁






설명
순서
●간도의유례와범위
간도분쟁에 대한 보고서
다. 한, 일, 청 3국은 비문중의 압록강은 인정하나 토문강에 대상으로하여 意見을 달리하였다.
,인문사회,레포트
간도분쟁에 대한 보고서●간도의유례와범위 , 간도분쟁인문사회레포트 ,
한·중 간에 완전한 국경선을 결정하지 못한 근본 Cause 은 양국 간에 광활한 무인지대가 존재했기 때문일것이다 따라서 간도분쟁은 봉금지역인 무인지대를 둘러싼 영유권 분쟁임과 동시에 한국, china(중국) , 러시아, 日本 이 개입된 정치적 분쟁이다. 한국과 日本 은 정계비로서 인정한 반면, 청은 비의 내용에 분계의 문자가 없다고 해서 정계비를 인정하지 않았다. 한,일은 토문강을 두만강과는 별개의 강으로 송화강의 원류로 보았으며, 청은 토문강이 도문강이며, 이것이 두만강이라는 것이다.
2차에 걸친 한·청 국경회담과 1909년 일·청간의 간도협약 체결 과정에 나타난 논쟁점을 analysis(분석) 하면 간도분쟁을 국경분쟁으로 간주하고 있다아 이러한 논쟁점을 열거하면 첫째, 백두산정계비의 가치 둘째, 비문 내용의 해석 즉 토문강의 실체 셋째, 을유.정해 국경회담의 효력 넷째, 1885년 이후의 교섭서 및 선후장정에 대한 견해 다섯째, 역사(歷史)상의 사실에 관한 쟁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