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31 11:20
본문
Download : 포스트모더니즘_2047387.hwp
③인간의 이성이나 지식이 갖게 되는 歷史성과 우연성, 불확실성과 잠정성, 가변성과 다원성, 상대성을 강조.
1. 소여(所與)성의 부정과 가치부하설(value-ladenness thesis)
①이성이나 자아, 개념(槪念)과 언어, 실재라는 것은 우리에게 주어지는 것이며, 그것들이 어떠한 불변의 내재적 본질을 지니고 있다는 생각을 부정함.
②가치 부하설, 理論부하설 : 인간의 인식과 지식은 인간이 지닌 관심과 동기, 신념과 가치관, 개념(槪念)과 理論, 선행 지식과 경험에 기초하여 세계를 해석하고 이해하고 탐구한 결과로서 이루어지는 것.
다. ⇒ 가치는 culture적인 구성물이며, 시대에 따라 변하고, culture에 따라 다르기 때문. 사람들은 그들의 다양한 이해관계, 전통, 環境(환경) 등에 따라 도덕성을 창조해낸다.
⇒ 소서사는 총체적인 거창한 일 대신 개인이나 자기 주위의 일상문제에 관심을 갖고 그것에 대하여 대화를 나누는 일이다.
2.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견해
① 대서사(grand narratives)에 대한 거부, 형이상학적 철학에 대한 거부, 총체적 사고에 대한 거부로 기술
②근· 현대 사회는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큰 주제, 理論체계인 대서사 ( 큰 이야기, 메타서사)를 구축했다. 포스트모더니즘 , 포스트모더니즘인문사회레포트 ,
포스트모더니즘
,인문사회,레포트
포스트모더니즘
Download : 포스트모더니즘_2047387.hwp( 12 )
순서
⇒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의 논리적 계승이며 발전인 동시에 그것에 대한 비판적 반작용이며 단절이다. 이것을 준거로 하여 모든 理論과 행동을 평가하고 정당화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적 경향은 두 가지 경향으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민주주의, 이성, 그리고 평등 등과 같은 모더니즘의 원리들을 확장하며 재정의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러한 원리들을 해체하고 거부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