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약학][해부생리학] 근육생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17 18:13
본문
Download : [의학,약학][해부생리학] 근육생리.ppt
근육: 화학적 E → 기계적 E.
골격근
1. 미세구조
근원섬유(microfibril)의 구조; myosin (M.W. 500kDa), actin (45kDa), tropomyosin(70kDa), troponin(18-35 kDa, troponin I, -T, -C) 등의 단백질로 구성
A-band (anisotropic band)
I-band (isotropic band…(skip)
2. 운동단위(motor unit)
3. 신경-근 사이의 흥분전달
1) 자극에 의한 신경섬유 흥분 전기적 변동(탈분극) 활동전압 전도 synaptic knob에 저장되어 있던 acetylcholine 분비(막의 Ca2+투과성 증가로 소포가 내면에 부착하는데 도움을 줌)
2) acetylcholine receptor와 결합하여 막의 투과성을 變化시켜 새로운 탈분극을 유발
3) acetylcholinesterase 에 의해 복합체의 가수분해 유발하여 복합체의 기능 소멸
다.
하나의 섬유가 자극을 받아 反應을 나타내면 그 전체가 反應하는 기능적 세포결체(functional syncytium)을 갖는다.
하나의 근섬유에만 자극을 가한 국한된 섬유만 움직인다.
[의학,약학][해부생리학],근육생리,의약보건,레포트
[의학,약학][해부생리학] 근육생리
[의학,약학][해부생리학] 근육생리 , [의학,약학][해부생리학] 근육생리의약보건레포트 , [의학 약학][해부생리학] 근육생리
순서
레포트/의약보건
[의학,약학][해부생리학] 근육생리
설명
Download : [의학,약학][해부생리학] 근육생리.ppt( 38 )
![[의학,약학][해부생리학]%20근육생리_ppt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D%95%B4%EB%B6%80%EC%83%9D%EB%A6%AC%ED%95%99%5D%20%EA%B7%BC%EC%9C%A1%EC%83%9D%EB%A6%AC_ppt_01.gif)
![[의학,약학][해부생리학]%20근육생리_ppt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D%95%B4%EB%B6%80%EC%83%9D%EB%A6%AC%ED%95%99%5D%20%EA%B7%BC%EC%9C%A1%EC%83%9D%EB%A6%AC_ppt_02.gif)
![[의학,약학][해부생리학]%20근육생리_ppt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D%95%B4%EB%B6%80%EC%83%9D%EB%A6%AC%ED%95%99%5D%20%EA%B7%BC%EC%9C%A1%EC%83%9D%EB%A6%AC_ppt_03.gif)
![[의학,약학][해부생리학]%20근육생리_ppt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D%95%B4%EB%B6%80%EC%83%9D%EB%A6%AC%ED%95%99%5D%20%EA%B7%BC%EC%9C%A1%EC%83%9D%EB%A6%AC_ppt_04.gif)
![[의학,약학][해부생리학]%20근육생리_ppt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D%95%B4%EB%B6%80%EC%83%9D%EB%A6%AC%ED%95%99%5D%20%EA%B7%BC%EC%9C%A1%EC%83%9D%EB%A6%AC_ppt_05.gif)
![[의학,약학][해부생리학]%20근육생리_ppt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D%95%B4%EB%B6%80%EC%83%9D%EB%A6%AC%ED%95%99%5D%20%EA%B7%BC%EC%9C%A1%EC%83%9D%EB%A6%AC_ppt_06.gif)
근육생리
근육을 조직학적 미세구조에 따라,
1)횡문근(striated muscle):
골격근(skeletal muscle)심장근(cardiac muscle)
2)평활근(smooth muscle):
장기평활근(visceral smooth muscle)다단위 평활근(multi-unit smooth muscle)
`기능학상 `
1)골격근과 다단위 평활근
; 신경지배에서 벗어나면 외부로부터 자극을 받지 않으면 움직이지 않는다.
2)심장근과 장기평활근
; 신경지배에서 차단되었을 때도 움직이는 성질이 뚜렷하여 자동능(automatism)을 갖는다.